작성자 : 운영자 등록일 : 2021-01-18 |
면접시 본인의 장점이나 역량을 단편적으로 어필하는 경우 효과적이지 않고, 입체적인 설계를 바탕으로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예를들어, "저는 친화력이 매우 좋고 주위 사람들과 매우 잘 어울립니다" 라고 친화력이 본인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주장할 경우, 면접관들은 대부분 아래와 같이 받아들일 것입니다. - 친화력이 좋은가보군.. - 친화력 좋다는 사람이 워낙 많아서.... 그럼 어떻게 해야 면접관의 주목을 끌수 있을까요? 우선 면접관에게 신뢰를 줘야 합니다. 신뢰를 줄수 있는 방법은 단순주장이 아닌 실제사례를 들어주는 것입니다. 실제사례를 예로들면, "저는 친화력이 매우 좋고 주위 사람들과 매우 잘 어울립니다" "제가 대학 동아리 활동때 타 대학 및 다른 동아리와의 교류 및 협력활동이 많았습니다. 타 학교나 타 동아리에서 저희 동아리로 문의나 업무협조가 오면, 비록 제가 담당은 아니었지만 아는대로 최대한 답변해주고, 업무협조 요청온것은 최대한 잘 진행되도록 도움을 주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러다보니 나중에는 소문이 나서 점점 많은 사람들이 저를 찾게되었고, 일부는 저를 아예 업무담당으로 알고 연락오는 경우가 잦아졌습니다. 계속 그렇게 지내다보니 감사의 인사도 많이 받았고 그들과 친해져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대학 졸업후인 지금도 그들중 일부와는 아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서로 도움이 주고받는 사이로 지내고 있습니다" 이렇게 실제사례를 예로 들면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 친화력이 좋다는 것에 대한 신뢰가 생길뿐만 아니라, - 아! 정말 친화력이 좋은 사람이구나... - 친화력도 좋고 이타적이 성품의 사람이구나... 라고 느낄것입니다. 실례사례를 들어 신뢰를 주었다면, 마지막으로 그런것들과 지원사유를 묶으면 스토리텔링이 완성됩니다. 예를들어, 인사총무팀 채용건이라고 가정하면, 위의 친화력 사례를 아래와 같이 적용할수 있습니다. "저는 말씀드린것처럼 친화력이 좋고 주위 사람들과 매우 잘 어울립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저에게 부탁하는 것을 들어주고 어려워하거나 도움이 필요한것을 해결해줄때 행복감을 느낍니다" "이번에 귀사에 지원하는 인사총무 업무는 제가 평소에도 가장 좋아하는 일이고 남들보다 잘할수 있는 업무라고 생각합니다. 기회를 주시면 회사 구성원 모두가 편하고 행복한 회사생활을 할수 있도록 저의 친화력을 무기로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와 같이 지원사유를 말하면 어떨까요? 만약 면접관이라면 당장 채용하고 싶은 마을이 들지 않으신가요? 지금까지 스토리텔링의 한가지 사례를 들어봤습니다. - 본인장점 : 친화력 - 실제사례 : 동아리 사례 - 지원사유 : 지원분야에서 본인의 장점을 극대화해 업무를 잘할수 있음을 어필 이처럼 본인의 장점이나 역량을 어필할때 단편적으로 저는 OOO를 잘합니다 또는 저는 OOO가 뛰어납니다 라고 단편적으로 말하지 말고, 어필하고 싶은 역량건별로 실제사례를 들고 그것을 이유로 지원사유까지 연결하는 스토리텔링이 중요합니다. 자 이제 면접때 주장하고 싶은 보유장점/역량을 정리하시고 각각의 장점/역량별 실제사례를 준비하세요 그리고 장점/역량별 지원사유와의 연계점도 준비하세요 이렇게 준비해 면접때 말씀하시면 면접관의 높은 관심을 받고 좋은 면접결과도 기대할수 있을 것입니다.
|
조회: 1319 |